【탐사】 용궁포 부동산 급등 뒤 ‘수상한 거래들’

본지 3개월 추적 결과… 일부 거래에서 ‘정보 선취득’ 의혹 제기


📋 취재 과정

1단계: 시민 제보 접수 (2024년 12월)
2단계: 부동산 거래 내역 정보공개 청구 (2025년 1월)
3단계: 관련자 접촉 및 증언 확보 (2025년 2월)
4단계: 당국 질의 (답변 대기 중)

용궁포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기 시작한 지난해 말, 일부 거래에서 ‘정보 선취득’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. 본지가 3개월간 추적한 결과, 개발 계획과 관련된 정보를 미리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거래 사례들이 발견됐다.


🕐 의혹 거래 타임라인

2024년 10월 15일

2024년 11월 3일

2024년 11월 20일

2024년 12월 초


🔍 핵심 의혹

Case 1: 서울 A씨의 ‘확신’ 거래

서울에서 온 A씨(45)는 지난해 10월 해안가 토지를 50억원에 매입했다. 문제는 거래 과정에서 보인 ‘확신’이다.

관련자 증언

“A씨가 ‘곧 큰 개발이 있을 거라 확신한다’고 했어요. 그 당시만 해도 공식적인 발표는 전혀 없었는데…”
— 부동산 중개업자 C씨

A씨는 본지의 연락 요청에 “적법한 투자”라고만 답했다.

Case 2: B법인의 연속 매입

B법인은 한 달 사이에 인접한 5필지를 연속으로 매입했다. 더 의아한 것은 매입 직후의 행동이다.

확인된 사실


📄 입수 문서

시청 내부 회의록 (2024.11.20)

참석자: 시장, 부시장, 기획예산과장, 개발정책과장
안건: 용궁포 대규모 개발 사업 검토
주요 내용: 
- 해안가 개발 가능성 논의
- 예비 타당성 검토 필요
- 대외비 유지 강조

이 회의가 열리기 한 달 전부터 해당 지역 토지 거래가 활발해졌다는 점이 의아하다.


💬 관련자 인터뷰

Q. 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다고 보나?

“회의 참석자가 제한적인데 정보가 밖으로 나갔다면 문제다.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.”
— 시민사회연대 김감시 대표

Q. 시청의 입장은?

“모든 절차는 적법하게 진행됐다. 추측성 보도는 자제해달라.”
— 시청 대변인


📊 데이터로 본 의혹

구분의혹 거래일반 거래
평균 거래가평방미터당 180만원평방미터당 120만원
거래 후 재판매율0% (보유 중)35%
개발업체 접촉100%5%

분석: 의혹 거래들은 일반 거래와 명확히 다른 패턴을 보임


⚖️ 전문가 의견

법률 검토

“정보를 미리 알고 거래했다면 내부자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. 특히 공무원이 연루됐다면 더 심각한 문제다.”
— 박정의 변호사(부동산 전문)

부동산 시장 분석

“이런 패턴의 거래는 우연의 일치라고 보기 어렵다.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.”
— 이분석 부동산연구소장


🔍 추가 조사 계획

본지는 이번 의혹에 대해 계속 추적할 예정이다.

다음 단계

  1. 추가 거래 내역 분석
  2. 시청 관계자 심층 인터뷰
  3. 수사기관 고발 검토
  4. 시민단체와 공동 대응 방안 논의

Leave a Reply

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. Required fields are marked *